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연 전시 할인권 210만장 선착순 배포! 신청 방법과 사용법 총정리

by 만호3 2025. 8. 8.
반응형

2025년 8월, 문화생활의 문턱을 낮춰줄 반가운 소식! 공연·전시 할인권 210만장이 8월 8일부터 배포됩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정부의 2차 추경 100억 원이 투입된 대규모 문화 소비 활성화 정책입니다.

목차

    공연 전시 할인권이란?

    • 공연 할인권: 1매당 1만 원 할인
    • 전시 할인권: 1매당 3,000원 할인
    • 총 210만장 배포
      • 공연: 50만장
      • 전시: 160만장

    1인당 최대 10매까지 발급 가능 (예매처별 2매, 타임티켓은 비수도권용 추가 2매 포함)

    할인권 신청 일정 및 예매처

    ※ 선착순 발급이므로 서둘러 신청해야 합니다.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할인권 사용 조건 및 유의사항

    구분 최소 결제금액 할인 금액 사용 기한
    공연 15,000원 이상 10,000원 ~9월 19일까지 발급, 11월 30일까지 관람
    전시 5,000원 이상 3,000원 ~9월 19일까지 발급, 11월 30일까지 관람

    ※ 예매 1건당 1매만 적용
    ※ 예매처별 최대 2매까지 사용 가능
    미사용 할인권은 10월 추가 배포 예정

    할인 적용 가능한 공연·전시 분야

    🎵 공연

    • 연극
    • 뮤지컬
    • 클래식(서양음악)
    • 국악(한국음악)
    • 무용
    • 복합예술

    ※ 대중음악 및 대중무용은 제외

    🖼️ 전시

    • 국공립/사립 미술관 전시
    • 아트페어
    • 비엔날레

    ※ 산업박람회, B2B 박람회 등은 제외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도 추가 지원!

    타임티켓에서는 비수도권에서 열리는 공연·전시에 한해 2매 추가 발급됩니다.
    지방에 거주 중이거나 휴가 중이라면 꼭 활용하세요!

    고령층·장애인 등 온라인 취약계층 지원

    • 전화 예매 가능 (예매처별 전화 시스템 운영)
    • 유선 종합안내 창구 운영
    • 모두예술극장 전용 1만장 할인권 배포

    → 장애인 고객도 쉽게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배려된 시스템입니다.

    꿀팁: 할인권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

    1. 다양한 예매처에서 각 2매씩 확보
    2. 공연·전시 가격 확인 후 결제금액 맞춰 구매
    3. 비수도권은 타임티켓 우선 사용
    4. 9월 19일까지 사용하지 못한 할인권은 10월 재신청 기회 노리기

    마무리

    이번 공연·전시 할인권 정책은 단순한 혜택을 넘어, 문화생활을 더 가까이 누릴 수 있는 기회입니다.
    특히 1만 원 할인은 체감상 매우 큰 혜택이므로, 가족, 연인, 친구들과의 문화생활 계획에 적극 활용해보세요!

     

    ■ 다른글보기

     

    영화 할인권 6천원 신청방법 사용처 정리

    6000원 할인받고 영화 즐기자! 정부가 준비한 역대급 영화 할인권 배포 이벤트가 드디어 시작됩니다. 총 450만 장의 영화 할인권이 선착순으로 발급되며,이 할인권을 이용하면 최대 6000원까지 할

    aa.infotist.com

     

    유튜브 영상 다운로드 피싱 주의보 – 무심코 클릭했다가 돈·정보 날려

    “유튜브 영상 다운로드”라는 검색어, 한 번쯤은 쳐보신 적 있으시죠?특히 음악이나 강의를 저장해두고 싶을 때, 간편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를 찾게 되는데요. 그 순간! 무심코 클릭

    aa.infotist.com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 최대 120만원 받는 법(+2025년 2차)

    2025년에도 어김없이 경기도 청년 근로자들을 위한 알짜 복지 혜택,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가 돌아왔습니다. 올해 2차 모집이 8월 1일(금)부터 8월 12일(화) 18시까지 진행되며, 최대 120만 원의 복지

    aa.infotist.com

     

     

    반응형